'생활정보'에 해당되는 글 62건

  1. 2016.04.11 스트레스테스트에 대해 알아볼까요? 1
  2. 2016.04.10 플라자합의에 대해 알아볼까요?

스트레스 테스트와 금융개혁



위기발생 시 금융사의 생존 여부를 판단하는 시험



안녕하세요 ^^ 그린보리입니다. 

감기 기운이 있어서 제정신이 아닙니다. 환절기인만큼 다들 건강관리에 각별히 신경써야 될 듯 해요~~!

오늘의 포스팅은 스트레스 테스트입니다. 갑자기 무슨 스트레스냐 난 항상 스트레스 받으면서 살고 있다고 하실텐데... 오늘 소개하는 스트레스는 조금은 다른 스트레스입니다.

스트레스 푸는법이나 스트레스 자가진단, 스트레스 해소게임 같은 것을 기대하셨다면 죄송하다는 말부터 드려야겠군요...


(오늘의 스트레스 테스트는 게임이 아닙니다...)

금감원이 시행하고 있는 스트레스 테스트라는 용어는 금융회사에 스트레스를 가했을 때 과연 살아남을 수 있을까를 시험하는 것입니다. 세계 각국 정부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대형 금융사들의 건전성을 감독하는 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죠.

그렇다면 스트레스 테스트에서 이용되는 것은 무엇일까요? 보통 성장률, 금리, 환율, 부동산가격 같은 거시경제변수의 악화가 주어집니다. 예를 들어 성장률이 급락해 기업들이 줄줄이 부도를 내는 경우를 상정하죠. 스트레스테스트를 하는 방법은 크게 상향식 접근법과 하향식 접근법 두 가지가 있습니다. 


상향식 접근법은 중앙은행이 제시한 시나리오에 따라 개별 금융회사가 자체적으로 스트레스테스트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중앙은행이 취합하는 것이고 하향식 접근법은 중앙은행이 스트레스 테스트 모형을 개발해 시나리오별로 영향을 직접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스트레스 테스트는 1990년대에 금융권에 처음 도입돼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당시 일부 활용되다가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금융사들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수단으로 광범위하게 자리잡았습니다. 테스트 결과에 따라 충분한 자본금을 쌓지 못한 은행들에 대해선 자본금을 늘리도록 하는 조취를 취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금감원이 스트레스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금감원은 은행권을 중심으로 하는 스트레스 테스트를 보험사, 카드사, 자산운용사 등 전 금융권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금융과 실물경기는 동전의 양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에서 드러났듯이 대형 금융사의 위기는 개별 금융사 차원을 넘어 전체 금융시스템의 건전성과 나아가 실물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만큼 앞으로는 우리 모두 금융권의 스트레스 테스트에 관심을 갖어야 하겠죠?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그린보리의 일상블로그입니다.

 매일 신선한 포스팅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자주방문해주실꺼죠? ^^

앞으로 잘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Posted by 보리순
,

플라자 합의란?


G5의 재무장관들의 외환시장 개입에 의한 달러화 강세를 시정하도록 결의한 조치





안녕하세요~ 그린보리입니다. 어제 오늘 정말 미세먼지가 심하더라고요.... 다들 마스크 하나씩 꼭 장만하세요. 정말 심각합니다... 중국에서는 벌써 8살짜리 아이가 폐암으로 죽었다고 하더군요..! 조심해서 나쁠건 없으니 다들 건강관리에 유의합시다 ^^

오늘의 포스팅 주제는 플라자 합의입니다. 플라자 합의란 1985년 미국 뉴욕에 플라자 호텔에서 G5의 재무장관들이 외환시장에 개입한 사건입니다.


발생 배경은 미국이 1980년대 레이건 정부가 들어서고 개인 소득세를 대폭 삭감하면서 발생하였습니다. 소득세 삭감은 재정적자를 불러일으켰고 이는 무역수지 적자로 이어졌습니다. 특히 1985년대 대일 적자는 429억 달러로 확대되었는데 미국의 고금리로 인한 달러화 강세가 계속 유지되어 무역수지 적자는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고 달러화 강세는 계속되었기 때문에 결국 미국은 1985년 9월 22일 플라자 호텔에서 프랑스 독일 일본 미국 영국의 G5 재무장관 회의를 개최하였고 여기서 당시 미국 재무장관인 제임스 베이커 장관이 세계 경제가 직면하고있는 여러 문제점들의 원인이 달러화의 가치상승이라고 하면서 일본 엔화절상과 독일 마르크 화의 평가절상을 유도하여 달러화 강세 현상을 시정해달라고 부탁합니다.

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

플라자 합의가 채택되자 독일 마르크화는 달러화에 대해 7% 엔화는 8.3% 각각 오르는 즉각적인 변화가 나타났습니다. 이후 달러화는 30% 이상 급락하였고 이를 통해 미국은 경기회복을 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일본은 엔고로 인해 버블 붕괴 등 경기가 급속도로 악화되었고 지금까지 잃어버린 20년이라는 불황기를 보내고 있습니다. 참고적으로 1995년에 엔저 유도를 위한 G7 합의가 있었는데 이를 역플라자 합의라고 합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감사합니다 ^^



그린보리의 일상블로그입니다.

 매일 신선한 포스팅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자주방문해주실꺼죠? ^^

앞으로 잘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Posted by 보리순
,